티스토리 뷰

전문가들이 풀어주는 일상의 수수께끼

미디어다음 / 김성희 독일 통신원

짧아 보이는 대기줄에 섰는데 훨씬 길어 보이는 옆줄이 더 빨리 줄어드는 것은 왜일까? 빵에 잼을 바르다가 떨어뜨리면 왜 잼 바른 쪽이 항상 바닥으로 떨어질까? 자동차의 주유구는 왜 오른쪽에 더 많이 있을까? 일상에서 느껴지는 몇몇 수수께끼 같은 의문점을 뒤집어 보면, 의외로 간단한 해답이 숨어 있기 마련이다.


독일의 빌트지가 최근 일상의 몇 가지 수수께끼와 그에 대한 간단하지만 흥미로운 해답을 몇 가지 소개했다. 내용의 일부를 발췌해 소개한다.


왜 빵은 잼 바른 쪽이 바닥으로 떨어질까. 빵과 커피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왜 빵은 ?바른 쪽이 바닥으로 떨어질까>


독일 하이델베르크 사범대 물리학 연구소 우베 침머만(Uwe Zimmermann)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 현상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작용하고 있다. 탁자의 높이와 빵의 크기가 바로 그것.

식탁에서 떨어지는 빵은 회전을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식탁은 표준 규격의 높이에 맞춰서 제작되어 지고, 잼을 바를 만한 빵의 크기도 대부분 비슷한 경우가 많다.

빵이 표준 높이의 식탁에서 바닥으로 떨어지기 까지의 시간은 곧, 빵이 180 도로 반회전을 할 수 있는 시간이다. 예외는 있기 마련이지만.

따라서 식탁에 서서 빵조각의 윗면에 잼을 바르다가 실수로 빵을 떨어 뜨리면(우리가 사용하는 표준 높이의 식탁과 우리가 먹는 잘라진 식빵의 크기를 고려했을 때), 빵의 윗면이 바닥을 향해 회전하는 순간 바닥에 가 닿는 것이다.

<자동차의 주유구는 왜 오른쪽에 많을까>

이것은 자동차 모델의 변천 역사와 관련이 있다고 독일의 자동차 제조업협회 에커하르트 로터씨는 설명한다. 즉 예전부터 차체의 오른쪽에 주유구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독일의 도로들을 달리고 있는 자동차들의 주유구는 대부분 오른쪽에 있다(포르쉐 같이 예외인 경우도 물론 있지만).

그렇다면 과거의 자동차들은 대부분 오른쪽에 주유구를 만들어야 했을까. 예전의 주유소에 설치돼 있던 주유기는 한쪽 방향으로만 주유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진행방향과 다른 쪽에 주유구를 가진 차는 반대 방향으로 들어와 주유를 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주유구가 한쪽으로 통일되어야 했던 것이다.


도널드 덕은 왜 윗옷만 입고 있을까. 도널드 더기 70회 생일 맞아 기념촬영 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디즈니 만화 캐릭터 미키 마우스는 왜 바지만, 도널드 덕은 왜 윗옷만 입고 있을까?>

'미키 마우스' 라는 책을 펴낸 에아파 출판사의 마리온 에겐베르거 씨는 도널드 덕은 오리고, 몸은 이미 깃털로 덮여 있기 때문에 선원 자켓을 입는 것 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자켓을 입지 않을 때 도널드 덕은 항상 목욕수건을 둘둘 말고 나타난다.

미키 마우스는 포유 동물이기 때문에 미국의 도덕적 보편성에 부합하려면 바지를 꼭 입혀야 한다고.

<공중화장실의 문은 왜 안쪽으로 열리고, 공공건물이나 식당의 문은 왜 대부분 바깥쪽으로 열릴까>

독일의 호텔, 요식업협회 이르겐 베나트씨는 레스토랑 같은 곳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손님들이 보다 신속하고 빠르게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이 바깥쪽으로 열려야 한다고 설명한다.

공중화장실에서는 문 앞에 누군가가 대기하고 있을 경우, 무의식 중에 문을 세게 열어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항상 안쪽으로 문이 열리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초상화의 시선은 왜 날 따라다니는 것일까. 19세기 러시아의 황제 피터 1세의 초상화를 한 관객이 감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어느 쪽에서도 초상화의 눈이 자신의 시선과 마주치고 있다고 느끼는 이유는?>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의 심리학자 제임스 토드씨는 그림 속에 있는 인물이 똑바로 앞을 쳐다보고 있을 경우에도 그 시선은 각도에 상관없이 항상 그림을 보는 사람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초상화를 볼 때 우리는 초상화의 인물을 무의식 중에 실체로서 받아 들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우리 시선의 각도가 움직이면 그림의 시선도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

<물건을 놓아둔 장소는 왜 잘 잊어 버릴까>

생물학자이자 작가인 프랑크 밀트너씨에 따르면 사람은 어떤 한가지 일에 몰두를 하면, 시간이 많이 지나도 그 일을 기억할 수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뇌는 집중력이 쉽게 분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쇼핑에서 돌아와 잠겨진 현관문을 열쇠로 여는 순간 전화벨이 울리고, 만약 그 전화가 기다리던 중요한 전화였다면, 문을 열자마자 이내 그 쪽으로 뛰어 가게 되고, 열쇠는 무의식 중에 아무데나 내던져 진다. 뇌의 집중력이 분산된 것이다. 이렇게 되면 나중에 열쇠를 찾아 헤매는 수 밖에 없다. 뇌의 집중력이 분산되는 무수히 많은 예중의 하나다.

<왜 항상 내 대기줄 보다 옆줄이 먼저 줄어들까>

대답은 너무나 쉽다. 독일 클라우스탈 공대 수학연구소의 토마스 한쉬케 교수는 "슈퍼마켓 계산대에서 줄을 설 때 사람들은 보통 가장 짧은 줄을 찾아 서기 마련이다. 대기줄이 줄어드는 속도는 대기자의 수가 아니라, 각각의 대기자들이 얼마나 많은 제품들을 구매했는지, 얼마나 빨리 그 제품들을 계산대 위에 올려 놓는지, 현금계산을 하는지 카드지불을 하는지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기 때문에, 짧은 쪽에 줄을 설 경우에도 긴 쪽 줄의 대기자에게 추월당하기 십상이며, 그래서 항상 또 줄을 잘못 섰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이라고 설명했다.

아마도 공항에서 체크인을 하기 위해 대기하는 것과 같은 합리적인 방식이 보편화 된다면 짧은 줄에 섰다가 낭패보는 일이 줄어들 수도 있을 것이다